입구는 도입 공간으로 분류되며 건물의 주된 출입구
정면과 함께 고객이 처음 발을 들이는 공간이기에 기존 카페와 자동차 전시장을 접목하였기 때문에 고객들에게 카페 및 자동차 브랜드 그리고 공간 자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는 로고 이미지 또는 팸플릿 진열대 등을 통해 나타내고 카페의 좌석과 함께 자동차가 진열되어 있기 때문에 이 자체가 카페형 자동차 전시장이라는 것을 잘 보여주기에 대부분 전면 유리창을 사용하여 외부에서도 내부 공간을 더 쉽게 볼 수 있으며 입구에는 대표적인 차량을 전시하여 고객이 입구에서 처음 들어올 때 자동차를 접하게 되며 패널 및 영상 등 시각적 표현을 통해 자동차 브랜드 로고와 공간에 대한 정보가 제공됩니다.
상품 전시공간은 크게 중심 공간으로 분류되며
상품이 전시되어 고객에게 직접적인 정보가 제공되는 공간이고 자동차의 경우 차지하는 공간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편이기에 전시된 차량은 고객이 직접 눈으로 차량을 보는 것과 동시에 제품명 연비 가격 등을 표시하여 그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카페형 자동차 전시장의 상품 전시공간에서는 운영 방법에 따라 자동차를 직접 시승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며 차량 브랜드에서 제작한 제품을 전시 판매하고 또한 최근에는 VR기기 디지털 도슨트 대형 스크린 등을 통해 고객들의 흥미를 유발 식음공간은 중심 공간으로 분류되기에 상품 전시공간과 연계성이 있으며 대부분 두 공간은 연결되어 있거나 식음공간 내에 상품 전시공간이 구성되기 때문에 고객들은 식음과 함께 자유로운 자동차 전시 관람이 가능하며 이 외에는 바닥 재질 및 색 변화 파티션 등을 통해 식음공간과 상품 전시공간을 구분하고 일반 카페의 목적인 휴식기능을 위해 파티션과 시각을 차단할 수 있는 1~2인용 좌석 등을 통해 고객들에게 개인적인 공간을 제공하게 됩니다.
카운터는 크게 서비스 공간으로 분류되며 식음공간을 이용하는 고객
이 메일 오전 메뉴를 주문할 수 있는 공간이기에 기존 일반 카페와 동일하게 벽면 상단에는 메 뉴판이 있으며 고객이 메뉴를 선택하고 주문 후 계산 및 음료를 픽업하므로 직원과 직접적으로 마주하며 카페형 자동차 전시장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식음 외에 전체 공간에 대한 안내카운터의 형태가 존재하기도 하기에 상담 공간 및 정보제공 공간은 서비스 공간으로 분류되고 고객에게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개방적 또는 비개방적인 형태로 나타나며 카페형 자동차 전시장이라는 점에서 개방적인 상담 공간은 식음공간과 같이 자연스럽게 상담이 가능하고 또한 자동차 기업의 직원이 상주해있는 곳에서는 전시된 차량 주변의 식음공간에서의 상담이 이루어지기도 하며 비개방적인 상담 공간은 주로 매장 안쪽 내부에 따로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자동차 기업의 영업을 담당하는 상담 직원이 보다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받고 판매까지 이루어지기에 직원과의 직접적인 상담 외에 고객이 능동적으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으며 팸플릿 책 등을 통해 고객은 언제든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그 내용은 한정적일지라도 시간적 공간적으로 접근이 용이합니다.
주방 및 창고는 작업공간으로 유일하게 직원만이 이용하는 공간
이라서 카페라는 점에서 주방은 주로 카운터와 연계되어 있어 고객들 또한 시각적으로 접할 수 있고 주방에서는 청결상태가 가장 중요하며 직원의 역할을 위한 원활한 동선이 이루어져야 해서 창고는 직원 사무실과 함께 주방 뒤 또는 따로 후방에 공간이 마련되어있고 크게 도입 공간 중심 공간 서비스 공간 작업공간으로 나눠지는 카페형 자동차 전시장은 카페의 기능을 가진 공간과 전시가 이루어지는 공간이 융합되어 있어 그 경계가 뚜렷하지 않으며 도입 공간에서는 시각적으로 자동차가 전시되어 있는 카페에 대한 것을 알 수 있도록 브랜드 로고 패널 등이 진열되어있기에 도입 공간을 지나 구성되어 있는 중심 공간의 상품 전시공간과 식음공간은 연계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식음 하면서 자동차를 전시 관람할 수 있어 면적이 큰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담 공간 및 정보제공 공간은 중심 공간과 연결되어 있으며 공간 내부에 위치하여 있어 식음과 전시 관람 후에 고객의 선택에 따라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고 정보가 제공되는 공간은 대부분 고객이 지나칠 수밖에 없는 카운터 주변에서 볼 수 있었으며 상담 공간은 개방적이거나 비개방적이었으며 카운터는 주방 및 창고와 연결되어 있고 상담 공간의 직원과 역할이 분명하게 다르게 됩니다.
기존 카페와 자동차 전시장이 접목된 새로운 형태의 카페형 자동차 전시장
의 공간 구성이 정의된 자료는 아직 없고 이에 본 연구자는 자동차 전시장의 공간 구성과 카페의 공간 구성에 관한 선행 논문을 통해 다음과 같이 재정리하였는데 2010년도 이후부터 현재까지 자동차 전시장의 공간 구성을 다룬 선행 논문 중에서 나장수 김상도 황선정은 자동차 전시장의 공간 구성을 인포메이션 상품 전시공간 상담 서비스 공간 어트랙션 공간 파사드의 중복된 내용으로 분류하였고 또한 카페의 공간 구성에 관한 최근 3년 이내의 선행 논문에서 홍서라에 의하면 카페는 좌석 공간 좌석 공간 카운터 테라스 공간 정원공간으로 분류되며 방소윤은 도입 공간 객석 중심 서비스 공간 부대서비스 공간 주방 작업 공간으로 식음공간을 분류하였으며 이상혁은 고객공간 식음공간 서비스 공간 조리공간 후방공간으로 정리하였기에 본 연구자는 사례 조사 대상지를 직접 방문하여 위의 선행 논문을 통해 도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카페와 자동차 전시장의 공간 구성을 교차분석하였 으며 교차 분석한 내용을 통해 국내 카페형 자동차 전시장의 공간을 더욱 세분 화할 수 있었으며 대분류로 도입 공간 중심 공간 서비스 공간 작업공간으로 나 누고 세부적으로는 입구 상품 전시공간 식음공간 카운터 상담 공간 주방 및 창고로 분류하였습니다.
※ 참조문헌 : 카페형 자동차 전시장의 제3의 공간 특성 (오수민 2017)
'자동차 대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전시장 제3의 공간 특성 및 유형 (0) | 2022.10.29 |
---|---|
제3의 공간에 대한 개념 (0) | 2022.10.29 |
국내 해외 카페형 자동차 전시장 사례 (0) | 2022.10.29 |
카페형 자동차 전시장의 변화 (0) | 2022.10.27 |
자동차 시트의 시각적 효과 연구 (0) | 2022.10.25 |
댓글